
React 내에서도 리스트 형태의 데이터를 출력할 때 반복문을 사용하게 된다. Java와 같은 언어들은 대부분 for문을 사용하면 되지만 React는 그보다 map을 더 많이 사용한다. map의 사용법을 알아보자. 1. 기본 형태 map은 배열 내장 메소드이기 때문에 배열.map(콜백함수) 형태로 사용된다. arr.map(callbackFunction, [thisArg]) arr.map(callbackFunction(currentValue, index, array), thisArg) currentValue : 현재 배열(arr) 내의 값들 index : 현재 배열 내 값의 인덱스 array : 현재 배열 thisArg(선택항목) : callback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this 레퍼런스를 설정 2. ma..
이상하게 map에 대해서는 공부를 해도 이해가 잘 안되는거 같다.(왜일까) 그렇다면 제대로 이해할 때까지 기록하고 공부하는 수 밖에 없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지만 그래도 포스팅을 하면서 하나하나 확실하게 기억해 나아가고 싶다. Java8부터는 lambda식을 이용하여 Map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를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Map 인터페이스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메서드는 다음과 같다. forEach() compute() computeIfAbsent() computeIfPresent() merge 등 이러한 메서드들은 람다식을 이용하여 Map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1. forEach() Map의 모든 요소를 순회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