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이야기는 해로 2년, 마지막 기술 포스트로부터는 약 6개월이 지나고 25년의 첫 포스트를 써봅니다.일 하느라고 티스토리 관리를 안 했는데...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포스트를 보고 계시더라고요.애초에 단순히 미래에 같은 에러를 보거나 정보를 찾을 자신을 위해 기록용으로 남기기 시작한 티스토리이기에 대충 작성한 것들도 있을텐데 앞으로는 좀 더 세심하게 작성해보려 합니다. 포스트를 안 쓴 사이에 많은 일들이 있었네요. 이제 신입은 당연히 아닐 뿐더러 승진도 했고...^_^작명 센스가 없어서 '신입 개발자가 공부하는 블로그' 라고 작성하고 기록을 시작했는데 슬슬 다른 이름을 고민하고 새 단장을 해봐야 할 거 같습니다. (물론 이런 거 귀찮아하는 편이라... 언제 바뀔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초반에는 Sp..
프로젝트 코드를 보며 이해한 후 현재는 회사 내에서 간단하게 볼 수 있는 웹 페이지를 만들고 있다. 난생 처음 접해보는 분야이기 때문에 서칭도 많이하고 하루, 이틀을 삽질하기도 하였지만 신입의 특권으로 공부하면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거 같다. 이번 달 중순에 있는 테스팅이 우선이기 때문에 포스팅을 못하고 있지만 테스팅을 다녀온 후 개인적으로 정리하고 싶어 메모했던 내용들을 복습 차원에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또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어떤 툴을 사용할 것이고, 어떤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것이지에 대한 사전 조사와 이해가 중요하다는 걸 이번에 웹 페이지를 만들면서 너무 크게 느꼈다. 어떻게든 해내고 싶어서 며칠을 고생하더라도 원하는 기능을 만들긴 했지만 코드가 너무 길어지고 복잡해졌다. 이걸...
프로젝트를 암호화 후에 localhost에서 실행해보려 했더니 Reason: Task ':processResources' uses this output of task ':extractProto' without declaring an explicit or implicit dependency. This can lead to incorrect results being produced, depending on what order the tasks are executed. 라는 오류가 발생해서 이걸 해결하는데 꽤 시간이 걸렸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전 프로젝트에서 JDK 버전이 제대로 맞지 않아 이미 실행이 안되고 있던 상태였다. Process 'command 'C:/Program Files/OpenJDK/jdk..
그래도 코드를 많이 봐왔다고 생각했는데 역시! 현업에서의 코드는! 무지막지하게 복잡하게 얽혀있다...! 문서도 제대로 이해 못했는데(개인적으로 맘에 안드는 거, 모호한거 투성이...) 코드를 보려고 하니까 더 힘든거 같다. 아무튼 그래도 코드 읽으면서 얼추 한 번 이런 흐름이군..! 하고 보고 log 찍어보면서 이게 왜 나왔나, 이게 어떻게 출력되나도 혼자 찬찬히 따라가보고 있다. 그야말로 얼렁뚱땅~.~ 그래도 나름 맨날 공부만 하다가 그게 현업에서는 이렇게 복잡하게 쓰여요! 짜짠! 라는걸 배우면서 다시 익혀나가니까 개인적으로 재미는 있다! 그리고 회사 업무 분야도 나름 맞는거 같고. 이렇게 얼렁뚱땅 보내는 와중에 JPA랑 팀원 분이 같이 공부하자고 주신 알고리즘 공부를 쫌쫌따리 해야 한다는거~~~~ 공..
프로젝트 공부하는 중에 이래저래 모르겠는 코드들을 검색하면서 공부하고 있는데 이전까지 Spring 기반에서 Mybatis, JDBC로 데이터를 조회해오던 것과는 다르게 보고 있는 프로젝트는 Spring WebFlux를 이용하여 R2DBC로 데이터를 조회해오기 때문에 코드가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일단 제일 먼저 와닿는 점은 코드 길이가 엄청 짧아진다는 것이다! Mybatis, JDBC와 같은 방식을 쓰면 Repository를 설정하고 xml 문서에서 조회를 해온 후에 반환을 하는 과정을 겪지만 DataClient를 사용하니 쿼리를 조회하기 위해서 여러 메소드를 지나지 않고 바로 접근이 가능한 것 같다. 이렇게 되면 이전보다 조회하여 반환하는 시간이 확실히 짧아질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예전..